160509: 38회차

종료하기 전 티스토리 네이버 로그아웃 할 것


1. 툴

동일

추가시: 


2. 폴더

동일

추가시:


3. 사용할 사이트

동일

추가시:


4. 공부하는 것


web.xml servlet 선언하는 법 :>






application 은 JSP 내부객체라서 - JSP 안 쓸 때는 못 씀 - 그래서 request로 고쳤군


1. 기본 객체


 기본 객체

 실제 타입 

 설명 

 reques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를 저장한다. 

 response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응답 정보를 저장한다. 

 pageContext 

 javax.servlet.jsp.PageContext 

 JSP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session 

 javax.servlet.http.HttpSession 

 HTTP 세션 정보를 저장한다. 

 application 

 javax.servlet.ServletContext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out 

 javax.servlet.jsp.JspWriter 

 JSP 페이지가 생성하는 결과를 출력할 때 사용되는 출력 스트림이다. 

 config

 javax.servlet.ServletConfig 

 JSP 페이지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page

 java.lang.Object 

 JSP 페이지를 구현한 자바 클래스 인스턴스이다. 

 exception

 java.lang.Throwable 

 익셉션 객체, 에러 페이지에서만 사용된다. 


출처: http://gangzzang.tistory.com/entry/JSP-%EA%B8%B0%EB%B3%B8-%EA%B0%9D%EC%B2%B4-out-pageContext-application-page




세션 쓸 때는

package action.member;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action.Action;

import model.member.MemberDAO;

import model.member.MemberDTO;


public class ReadAction implements Action {


@Override

public String execut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Throwab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String id = request.getParameter("id");

// 일반사용자가 로그인후 나의정보를 클릭하고 올때

if (id == null) {

id = (String) request.getSession().getAttribute("id"); //ㅋㅋㅋㅋㅋㅋㅋㅋㅋrequest.getSession()

}

MemberDAO dao = new MemberDAO();

MemberDTO dto = dao.read(id);

request.setAttribute("dto", dto);


return "/view/member/read.jsp";

}


}


넘나 짱나는것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출석일 8/8~8/9로 바꿈 -그럼 10 11 12 13 14 15 쉼 
ㅇㅋ


세션은 가져다 쓸 떄

request.getSession() 하면 됨 ㅋㅋㅋㅋ







5. 수업

진도: 

hw: 


6. 할것


실행 명령어 만들기

1. eclipse 

2. 공유폴더

3. 선생님공유폴더


//만듬

크롬이랑 파이어폭스랑 익스플로러 초기화 할 것



게임 중독자 5일 남은것...★★

5일 뒤면 끝남



아니 집컴 왜 초기화 했어야 하지 -_-?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0511: 40회차  (0) 2016.05.11
160510: 39회차  (0) 2016.05.10
160504: 37회차  (0) 2016.05.04
160503: 36회차  (1) 2016.05.03
160502: 35회차  (0) 2016.05.02
Posted by DAVID